AI 챗봇(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의 발전 속도가 매우 놀랍습니다. 김지석 배우가 챗봇과 대화하는 영상이 44만 조회수를 기록(2025년 9월 기준)하며 이슈가 되었는데요. 챗봇은 김지석이 촬영 중이라는 말을 하지 않았음에도 “촬영은 잘 했어?”라고 물음으로써 소름 돋게 만들었습니다. 김지석이 어떻게 알았냐고 묻자 챗봇은 대화 패턴을 분석해서 유추한 것이라고 답하죠. 이처럼 이미 일상생활에 깊이 파고들어 사용되고 있는 AI 챗봇 만들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AI 챗봇 개발 툴 및 빌더 플랫폼 소개

(사진 출처 : CLOUD TURING)
자동차의 작동 원리를 몰라도 자동차를 운전하듯이 AI 챗봇의 원리를 몰라도 AI 챗봇을 만들 수 있습니다. 여러 빌더 플랫폼에서 AI 챗봇 개발을 쉽게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다양한 챗봇만들기 툴과 대표적인 빌더 플랫폼은 아래와 같습니다.
챗봇 데이터 관리 및 분석 툴
구글 빅쿼리(Google BigQuery), 몽고디비( MongoDB), 엘라스틱서치(ElasticSearch) 등의 툴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고 실시간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대규모 언어 모델(LLM) API 툴

(사진 출처 : IBM)
OpenAI, 구글, 네이버 등 AI 챗봇 서비스 플랫폼에서는 대규모 언어 모델 API 툴도 제공합니다. API는 소프트웨어끼리 통신하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중개 역할을 합니다. 또 사용자가 직접 코딩하는 대신 다른 시스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연계해주는 툴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AI 챗봇 빌더(builder) 플랫폼
Microsoft Bot Framework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챗봇을 만들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에 코딩 없이 챗봇을 설계하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개의 다른 채널과 연동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Dialogflow – Google Cloud 연동
다이얼로그플로우는 구글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는 빌더 플랫폼입니다. 자연어 처리(NLP)와 음성 인식 기능이 뛰어나며 한국어 포함 다국어를 지원하는 것이 강점입니다. 현대카드와 대한항공에서 고객 맞춤형 상담에 다이얼로그플로우 챗봇을 도입했습니다.
카카오 i 오픈 빌더
(사진 출처 : 뉴스토마토)
카카오톡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챗봇 빌더입니다. 우리나라 “국민 메신저”인 카카오톡과 자연스럽게 연동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음시점이나 쇼핑몰에서 예약과 주문 할 때, 고객과 상담 시에 최적화 기능을 제공합니다.
네이버 클로바 챗봇
클로바는 네이버 클라우드 기반의 AI 챗봇 빌더로 한국어 자연 처리 능력이 우수합니다. 네이버 톡톡 및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와 연동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입니다.
AI 챗봇 만들기
(출처 : 만만한 AI)
“미래는 이미 와있다. 다만 모두에게 균등하게 온 것은 아니다.” 윌리엄 깁슨
이 명언은 최신 정보와 기술 혜택의 불평등을 시사합니다. 빈부 격차처럼 “디지털 디바이드” 역시 사회 문제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AI 챗봇을 잘 활용해도 디지털 기술 사용에서 우위에 서게 됩니다. AI 챗봇 개발 툴을 이용하여 챗봇만들기 방법을 소개합니다.
AI 챗봇만들기 단계별 가이드

AI 챗봇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챗봇의 목적과 주요 기능을 명확히 알고 접근해야 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AI 챗봇은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스튜디오(Copilot Studio)에서 제작할 수 있습니다. 윈도즈11 사용자가 아니면 코파일럿 스튜디오 라이선스가 필요합니다. 본문에서는 챗GPT에서 나만의 AI 챗봇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사진 출처 : 챗GPT)
https://chatgpt.com/에 접속하여 좌측 메뉴 중 “GPT”를 클릭합니다.

(사진 출처 : 챗GPT)
GPT 검색 창이 나타나는데 오른쪽 상단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Chat GPT Plus”를 구독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만만한 AI)
왼쪽 창에서 “구성”을 클릭하면 아래 형식에 맞게 입력해야 합니다.
- 이름 : GPT 이름을 입력합니다.
- 설명 : 만들려는 챗봇 용도에 대한 짧은 설명을 추가합니다.
- 지침 : 챗봇의 용도를 구체적으로 씁니다.
왼쪽 창에서 “만들기”를 클릭하면 채팅 형식으로 AI 챗봇을 만들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만만한 AI)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입력창에 “한글로 대화하자”는 코멘트를 입력합니다. 이후 “유튜브 영상을 추천하는 챗봇을 만들자.” 같이 나만의 AI 챗봇이 수행할 기능을 입력합니다. 챗봇 제목과 챗봇 프로필 이미지를 자동으로 제안해 줍니다. 마음에 들면 그대로 사용하고 아니면 수정을 요청합니다.

(사진 출처 : 만만한 AI)
“완료되었습니다!” 메시지가 뜨는데 변경이나 추가하고 싶은 기능을 입력해서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AI 관련 영상을 많이 추천해 줘”, “말투는 친근하게” 등의 지침을 입력하면 됩니다.

(사진 출처 : 만만한 AI)
오른쪽 미리 보기 창에서 만들어진 AI 챗봇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상단의 “만들기”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공유하기 메뉴 3가지가 보입니다. 3가지 중 하나를 선택 후 “저장”을 클릭합니다. 저장된 나만의 AI 챗봇은 언제든 편집 메뉴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나만 보기 : 나만 볼 수 있습니다.
- 링크가 있는 모든 사람 : 친구나 회사 동료 등 지인과 공유할 수 있습니다.
- GPT 스토어 : GPT 스토어에서 누구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2025 AI 챗봇 순위
다음은 시장 점유율 및 세션 지속 시간을 기준으로 AI 챗봇 순위를 정리해봤습니다.
FirstPageSage
2025년 8월 기준 “FirstPageSage” 보고서에 따르면 시장 점유율 AI 챗봇 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 1위 챗GPT (OpenAI) : 약 60.4%
- 2위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 약 14.1%
- 3위 구글 제미니 : 13.5%
- 4위 퍼플렉시티 : 6.5%
- 5위 클라우드 : 3.5%
한국경제
우리나라 “한국경제”에서 2025년 2월 기준으로 발표한 시장 점유율 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 1위 챗GPT (OpenAI) : 59.8%
- 2위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 14.4%
- 3위 구글 제미니 13.5%
- 4위 퍼플렉시티: 6%
- 5위 클라우드 : 3.1%
OneLittleWeb
시장 점유율이 아닌 사용자가 세션에 지속하는 시간인 “Engagement”를 기준으로 했을 때 AI 챗봇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2025년 8월 기준 “OneLittleWeb” 보고서)
- 1위 클라우드 : 세션당 평균 16분 44초
- 2위 그록(Grok) : 세션당 평균 15분 43초
- 3위 챗GPT (OpenAI) : 세션당 평균 15분 25초
마무리
인공 지능 기술은 세탁기, 냉장고, 로봇 청소기같은 가전제품만이 아니라 의료, 자동차, 선박, 항공 등 여러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AI 챗봇이 나의 작업을 도와 주는 개인 비서 역할을 톡톡히 해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챗봇만들기 방법과 AI 챗봇 순위, 챗봇 생성하는 툴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나만의 AI 챗봇을 만드는데 도움되셨길 바랍니다.